컴퓨터
-
해결책이 아닌거 같아요..ㅠㅠ컴퓨터 2016. 7. 5. 11:51
그러니깐 글을 잘 읽어주세요.. 인터넷속도를 따지는게 아니라.. 내부 네트워크 속도를 이야기하는거잖아요... 케이블이 5e가 아니라 걍 t5인듯 하군요.. 다른 구성상에 문제가 없다면 케이블 확인해보시고 걍 cat5라면 케이블 교체하시길 바랍니다. 5e 케이블도 기가속도를 지원하지만 제대로된 속도를 나오게 하려면 6 케이블을 쓰셔야 합니다. 기가비트를 지원하는 공유기 또는 허브에 물린 내부망에서는 각 장비간의 파일 전송속도가 이론적으로는 상승해야합니다. 구성 조건은 질문자님이 올리신 대로.. 1. 네트워크에 연결될 장비는 모두 기가비트를 지원하는 랜카드가 있어야함. 2. 랜케이블은 근 거리일 경우 cat.5도 어느정도 속도 향상이 있지만 되도록 cat.5e 또는 cat.6로 구성되야함.. 3. 모든 장비..
-
도서관 사용이 주력이라면?컴퓨터 2016. 6. 28. 16:56
도서관 사용이 주력이라면 피파 포기하고 차라리 탭북듀오같은 태블릿 피시합니다. 피가 튀는 도서관인지라 민감한 사람이 워낙 많아서.. 저같은 경우엔 도서관 공부할땐 패드 들고 다닙니다. 괜히 노트북 들고 가봐야 뻘짓을 하니.. 인강이나 집어넣고선 패드들고 가는게 여러모로 좋습니다. 전 첫번째꺼가 좋은 것 같네요. CPU 클럭수도 높고, 그래픽카드가 따로 들어간것도 그렇고... 인텔그래픽카드로는 게임은 힘들거에요... 램..이번에 잘 나왔던데..가격이 이라 ㅎ 배부른 고민....피파, 인강이면 이하대도 충분함... 정말로요? 그럼 피파 구동 가능한 최소사양 모델 하나만 가르쳐주시면 안될까요?
-
디자인이나 형태에 따라 많이 달라지는 경향컴퓨터 2016. 6. 27. 19:52
게임 한다면 1번 게임 안한다면 2번입니다.. 전체적으로 성능은 SSD 추가 한다는 가정하에 1번 앞승입니다.. 그외 소모 전력은 2번이 더 낮아서 좋구요...소음 부분은 동급 동체 기준하에선 2번이 더 작겠지만... 중요한건 소음의 경우 제품의 디자인이나 형태에 따라 많이 달라지는 경향이 있어서....... 직접적 비교는 어렵습니다.. 다만 CPU 자체만 놓고 본다면.............소모전력이 낮고 공정이 개선된 2번이기 때문에... CPU(내장GPU파트포함)만 놓고 본다면 2번이 소음은 더 작습니다... 물론 제품의 전체적 비교가 아닌 한가지 부품(CPU)만 생각해서 드린 말씀입니다. 다만 1번의 경우 외장 GPU가 추가 장착되어 있는 관계로 소음이 더 클 것으로 예상해 봅니다.(게임 구동기준)..
-
다른 버전의 윈도우 깔고 해보실 수도!컴퓨터 2016. 6. 23. 14:11
비정상적으로 리소스가 상승하거나 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구글링 검색해보니 release 자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보통 통신 프로그램의 버퍼링 메모리 누수 현상이 많은데, 가상 메모리를 늘려보는 외에는 뾰족한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대안을 찾으시기 바랍니다. 네. 감사합니다. :) 최신 버전 받으신 거면 호환성 체크 해보시고, 그래도 안되면 구버전 검색해서 받아보세요. 이것저것 해도 안되고 꼭 봐야겠다 싶으면? 가상 피시 설치해서 다른 버전의 윈도우 깔고 해보실 수도 있습니다. 설명 감사합니다. 그러나 이미 다 적용해보고 시도해본 것들이네요^^; 프로그램이 무겁거나 심각한 호환성의 문제가 아니라서 가상피시로 실행할 만큼은 아니라고 봅니다.
-
저항 달아도 소리 나던가요?컴퓨터 2016. 6. 22. 19:03
저항 달아도 소리 나던가요? 사람마음이 간사한듯요. 처음엔 조용하다고 뿌듯해하다가 팬컨으로 해도 그냥 그 미세한 바람소리 자체가 거슬리기 시작하네요. 그냥 전 소음있는 걸로 할께요 ^^ cpu냉각은 뭘로해요? 전 걍 저소음에 만족하고 씀.. 초대형 방열판이죠. 인텔 i5 도 충분히 40~60도 정도로 온도 잡아줍니다. 그리고 팬이 없는 관계로 먼지도 덜 쌓입니다. 청소해줄 필요가 많이 사라집니다. 파워는 dc to dc 파워로 교체 ... 전 제 컴 소음에 적응돼서 ㅎㅎ..
-
제어판 전원옵션에서 고성능으로?컴퓨터 2016. 6. 16. 21:02
또한 메모리의 경우 램타를 너무 조이시지는 마시고, 메모리전압의 경우는 1.6~1.65V정도나 경우에 따라서 더 주셔야 합니다. 이정도 설정하시면 기본적인 국민OC의 경우는 별 어려움이 없으실 듯 합니다. 다만, OC가 익숙치 않으시면, 사용하시는 보드에 해당되는 OC설정등을 찾으셔서 활용해 보시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또한 프라임이나 링스로 충분히 안정화 거치시고, 리얼템프등으로 발열에 대한 모니터링도 하셔서 본인에 맞는 실사용 가능한 전압과 클럭을 찾으셔야 됩니다. 제어판 전원옵션에서 고성능으로 설정해보면 CPU에서 클럭이 최고 배율로 바로 바뀌어서 확인 가능합니다. 실사용자 직거래면 30이상 받을수 있는 사양입니다. 단지 3220에 650ti조합이라 선뜻 나서지는 않을거 같고 급하면 단품으로 거래해..
-
보통 서버에서 분배된 선이 허브를 통해~컴퓨터 2016. 6. 15. 02:30
회사 내부 선 공사가 어떻게 진행 됐는지는 모르나보네요. 보통 서버에서 분배된 선이 허브를 통해 또 분배가 됩니다. 허브 하나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본다면 하나의 네트워크에 공유기가 2대이상 설치가 된다면 하나의 네트워크에 물려있는 모든 pc들은 먹통이 됩니다. 회사에서 공유기 사용은 네트워크 지식이 없는한 하시지 않는게 좋을거라 생각합니다.. 낡은 공유기와 새공유기 속도차이는 별로 안납니다. 단, 낡은 공유기가 고장이 났다면 다른 말이겠지만요.. 말씀하신 Y자 커넥터는 사용해 본 적이 없습니다. 일자형 (연장케이블) 이라면 사용해 봤습니다. 잘 되더군요.. 말씀하시는것 같은데요. 이건 랜케이블 연장용도로 쓰는것이지 공유기처럼 쓰는 용도가 아닙니다.. 무엇보다 회선이 하나면 IP가 하나인데 이걸 커플러로 ..
-
듀얼코어로 전환되면서 이 문제가?컴퓨터 2016. 6. 9. 10:23
어디서 듣기론 멀티코어도 그 이유에 든다고.. 대충 오버해도 발열땜에 사제쿨러 달아주어야하는데 클럭출시면 뭐 4790k는 예외로두고... 타워형 공냉을 기쿨로 넣어주던가 해야되지않을까요ㅋㅋ? 발열덕에 더 올리지 못하고 머리숫자를 늘린다네요. 버스트타입CPU에서 성능향상을 위해 클럭수만 올리다가 전력소모와 발열 문제에 부딛혔고.. 결국 듀얼코어로 전환되면서 이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스마트tv를 유선랜이나 와이파이를 집에있는 공유기에 연결먼저 하셨는지요.. 그리고 저도 스마트tv 컴퓨터로 연결해서 봤는데 결국.. 있던 디빅스플레이어(컴퓨터 공유폴더 재생방식)로 다시 보고있습니다.. 영상도 목록에 잘 추가도 안되고 재생도 안되는게 있고 자막도 안나오고 암튼 이름치곤 별로네요.. 공유기로 티비 컴퓨터, 스마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