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
내장 GPU 메모리는 시스템 메모리에서~컴퓨터 2020. 4. 25. 14:59
별 차이 안 난다고 생각했는데 ex a 320m 대로 가도 될 것 같고 SSD는 디램캐시가 작동되는 구간이 아니므로 인터넷 동영상 정도에서 속도차이를 차감하기 힘들 수도 있습니다. 숫자로 확인해서 심적 만족만 얻을 정도라고 보이는데 프로중에 fpp 버전 구입해서 사용해야 할 텐데 굳이 다른 것도 있는지 알아봐야 할 필요도 있지요. 그리고 알려 주면 자기가 2개가 나을 것 같은데 용도가 차량이라 10년 정도 쓴다고 마중 하여서 작업을 하거나 고장이 나거나 세 가지 정도의 경우가 아니라면 저기서 양이라도 오래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전자제품은 완전 복불복이라서 몇 개월 만에 고장 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나름대로 오래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기도 하지요. vaga 8과 동일한 된 그래픽 내장 GPU 메모..
-
접촉 불량이 수도 있는데 아무래도 M2 SSD인데컴퓨터 2020. 4. 23. 04:52
요즘 들어서 부팅 관련해서 문제가 생기는 것 같은데 아무래도 컴퓨터에 보면은 Please backup your data replace your hard disk Drive 이러한 내용이 나오고 부팅이 안 되는 현상이 생기더라고요. 그런데 f1 누르고 8 들어가서 Smart self test를 off로 해 놓으면 부팅이 잘되고 crystaldiskinfo 검사하다 보면은 good라고 문제도 없는 것처럼 나가기도 하네요. 이게 내가 문제 일찍 생각해 보게 되는데 좀 더 다른 방향으로 점검하고 테스트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케이블 접촉 불량이 수도 있는데 아무래도 M2 SSD 다 보니까 다른 방법이 있는지도 창고에 볼만한 부분이겠지요. 혹시 다른 메인보드 있으면 연결해서 확인해 보면 될 듯한데 정말 디스크에..
-
usb 오디오 모두 나름대로 괜찮게 생각되는데컴퓨터 2020. 4. 21. 20:12
요즘 컴퓨터 하다 보면은 무슨 헤드폰에 대해서 그 필요성을 생각해 보게 되는데 그러다보니 이것저것 무선에 대해서 알아보기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금은 무선 헤드폰을 사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조만간에 한번 헤드폰 사용해 보려고 생각하고 있네요. 유선 무선 usb 오디오 모두 나름대로 괜찮게 생각되는 제품도 있을 거고 역시 선이 없는 자유로움이 예상보다 무척 기대가 되는 부분입니다. 게임 할 때 빼고 마이크 쓸 일이 없고 거추장스러운 돼 마이크가 탈착식으로 단계 포인트인 것 같습니다. 헤드셋 암들이 알루미늄 소재를 견고하게 보이고 무선 송신기가 없는데 컴퓨터에 꼽혀 있더라고요. 송신기까지 RGB 커세어 마크 불이 들어오는데 그리고 요즘엔 당연하게 생각되는 기능을 수도 있지만 icue 통합 프로그램에서 이퀄라..
-
안경닦이로 닦는 경우도 있고 모니터 사용 중에!컴퓨터 2020. 4. 20. 17:05
지금 사용하는 모니터가 있는데 오래 사용하다보면 모니터 화면에 이물질들이나 묻어 있을 때가 있지요. 이럴 때 어떻게 닦는지 생각해 보게 되더군요. 평소에는 안경 닦는 전에 물 조금 맞춰줬다 가도 되는지 몰랐는데 그리고 알콜솜 같은 걸로 딱 가도 되는지 궁금해지더라구요. 모니터 어쩌다가 닦을 때마다 알콜 휴지 웅덩이에 묻혀서 닦아내는데 코팅이 벗겨진다고 어쩐다나 아무래도 확인해 봐야 할 부분이지요. 모니터클리너라고 파는 거 있는데 그거 풀어서 닦으면 될 겁니다. 평상시에는 그냥 표지에 물 묻혀서 대충 닦았는데 약국에 가면 소독용 알코올 있는데 한 병을 말 안 하는데 이걸 수동용접면 붙여서 닦으시면 될 겁니다. 물수건 보다 클린하게 닦이고 잔대 남아 있지 않고 좀 오래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네요...
-
바로 공간이 남아서 HDD 안쪽에컴퓨터 2020. 4. 9. 19:53
컴퓨터 내부 청소를 한동안 안 해 줬더니 오래된 것 같더라구요. 바로 공간이 남아서 HDD 안쪽에 고정하고 시디룸 쪽은 이상하게 튜닝되어 있어서 어떻게 제거할까 생각하고 아무래도 제로 갈아타야지 업그레이드 할지 생각해 보게 되네요. hx1200 설정 도면 그냥 본체 케이스 업그레이드 하는게 낫지 않나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저것도 작년에 찍은 거라 1년재수 거 있는데 바꾸기에는 아직 좀 더 시간이 필요한 것 같네요. 파워를 사용하는데 그냥 케이스 교체 하는게 정답이지요. 속이 답답하고 더부룩하면 뭐라도 먹어야 하는데 아무래도 컴퓨터 케이스가 제 몸에 맞지 한다면은 뭐라도 조치를 취해 줘야 되지 않나 싶은 생각이 듭니다. 일단 케이스 앞면에 먼지들을 청소기로 빨아들이면서 내부 온도가 몇도 하락할지 점검..
-
주로 컴퓨터로 이런저런 영상들 보다 보니까 화면에 대한컴퓨터 2020. 4. 8. 13:48
주로 컴퓨터로 이런저런 영상들 보다 보니까 큰 화면에 대한 생각이 많이 나는데 모니터를 그렇게 알아보게 되더라고요. 32인치 생각해 보고 있는데 평만 커브드 상관없고 체감하게 힘들다는 이야기가 있어서 QHD 아니면 fhd 놓고 생각하게 되는 앱 32인치 QHD가 낫지 않나 싶기도 하고 이리저리 좀 더 정보를 모아 보게되더라구요. 어느 분이 이야기로는 1080p 동영상을 QHD 모니터 보니 오히려 흐리게 보이고 이런게 정상인 건가 물어 보고 애매한 대답을 하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아직까지 제가 보는 컨텐츠 대부분 영상에서 QHD 노이로 픽셀이 일치하지 않아 흐리게 보인다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될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QHD 모니터로 1080p 영상을 보면 흐리게 보인다는게 사실인지 한번 검색해 봐야겠..
-
드라이브 오류 검사 하였는데 멀쩡한 폴더컴퓨터 2020. 4. 1. 14:53
dpc watchdog violation 블루스크린이 떠서 리부팅 하고 파일 하나 오류코드가 0x80070570 때문에 지워지지 않아서 드라이브 오류 검사 하였는데 멀쩡한 폴더 하나 찍어 졌더라구요. 일을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지 모르겠지만 디스크 자체 문제나 SSD 라면은 매워 잘못된 드라이버 등등 문제인데 디스크 검사해 보는 것이 어떨지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윈도우창으로 게임 하는 도중에 파일 옮기다가 블루스크린에 나는 경우도 있는데 SSD 와 HDD의 충돌은 것 같은 경우도 있었습니다. 우리가 보기엔 멀쩡하지만 시스템이 판단하기엔 연관관계가 있어서 그럴 수도 있고 디피씨는 조금 머리가 아픈데 chkdsk로 문자 확인해 보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체크디스크로 검사했는데 에러가 없어졌다고 나오는..
-
하드디스크의 자료가 중요한 거라면컴퓨터 2020. 3. 31. 07:49
내장하드로는 접수는 저장용 하드디스크가 있는데 얼마 전부터 파일을 열면은 동영상이나 사진 등 버벅거리는 것 같은데 예전에는 그러지 않았는데 요즘 들어서 파일을 여는 것 자체만으로도 버벅거리는 것 현상 있는데 하드디스크 고장이 난 건지 궁금해지더라구요. 아무래도 디스크조각모음 한번 해 봐야 할 것 같은데 그러다가 자료 있는데 드르륵 하는 소리가 나면 하드디스크 수명이 어떨지는 모르겠더라고요. 그래서 자료를 제법 날렸는데 일단 새 거 하나 사시고 백업 해 보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크리스탈디스크인포로 하드상태 확인해 보고 배드섹터 검사 해 주고 하드디스크 상태를 알 수 있는 프로그램인데 사타케이블 새 것으로 교환 해보세요. 알려주신 프로그램으로 돌려보니 건강 상태는 알 수 없음이라고 나오고 아직 인식은 되고 ..